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9-01-05 00:43:46
  • 수정 2019-08-12 12:05:55
기사수정

‘소통’ : 뜻이 서로 통하여 오해가 없음

‘공감’ : 남의 감정, 주장에 자기도 그렇다고 느끼는 것


‘소통’이라는 단어를 국어사전에서는 ‘막히지 아니하고 잘 통함’ ‘뜻이 서로 통하여 오해가 없음’으로 정의한다. ‘공감’이라는 단어도 찾아보면 ‘남의 감정, 주장에 자기도 그렇다고 느끼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누구나 이해하고 많은 사람에게 친숙한 단어지만, 최근 대한민국이라는 사회를 들여다보면 이 단어들이 갖는 의미는 예전 같지 않다. 어찌 보면 실생활에서는 이미 낯설어졌고, 곁에선 멀어진 지 오래다.


악화한 경제 사정으로 인한 세대 간 공감 부족에서 발생하는 갈등, 이런 갈등을 풀기보다는 이용만 하려는 정치권. 그리고 국민과의 ‘소통’과 ‘공감’이 최우선이라고 말하면서도 실제로는 그렇지 못한 정책으로 비난 받고 있는 청와대와 정부. 지금이야말로 꼭 필요한 이 두 단어가 본래의 의미를 잃고 퇴색돼 버렸다.


단군 이래 최고의 스펙을 가졌다는 지금의 청년 세대. 하지만 부모 세대에선 경험하지 못한 계층 간 큰 간극이 그들을 절망으로 몰고 있다. 부유층이 아닌 중산층만이라도 유지하고픈 소박한 소망이 첫 일자리에서부터 좌절로 자리바꿈한다. 노력만으로는 도저히 이동이 불가능한 계층 간 차이는 청년 세대를 소위 N포세대로 만들고 말았다. 그들에게 미래의 꿈은 오히려 사치가 된 지 오래다.


이러한 청년들의 입장을 시대 변화에 따라 이해해주고, 공동체 안에서 따뜻하게 보듬어 주어야 하는 기성세대는 그들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아니 지금의 청년 세대의 고단함을 공감하고 이해한다고 확신할 수 있을까? 이들에게 ‘소통’과 공감은 과연 존재하는 것인가?



세대 간의 갈등을 넘어....

한국사회에는 '소통과 공감이 존재는 하는 것인가?


주변 사람들에게 현 정부나 정치권이 국민들과 잘 ‘소통’하고 ‘공감’하는지 물어보면 100에 99는 ‘아니’라고 할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신년사에서 “경제정책의 성과를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지만, 최근 한 설문 조사에서는 불행하게도 응답자의 65%가 “경제 정책 성과 자체가 없다”고 답해 대통령의 신년사를 민망하게 만들었다.


정치권도 무심하기는 마찬가지다. “민심 그대로의 대표성을 갖는 연동형비례대표제를 도입을 추진하겠다”거나 “국회가 갖는 특권도 내려놓겠다”고 누누이 말하지만, 국민의 70% 이상은 신뢰도가 2%대로 추락한 국회에 더는 관심을 두고 있지 않다.


‘서로 통한다’는 ‘소통’도 ‘남의 주장에 자기도 그렇다고 느낀다’는 ‘공감’도 국민의 바람일 뿐이지 정치를 하는 사람이나 정권을 잡은 사람에게는 의미가 없는 듯하다. 즉 국민도 정치권도 서로에게 무관심하니 ‘소통’할 리 없고, 인식 차이는 바다만큼 깊으니 서로 ‘공감’하는 것도, ‘공감’할 것도 없다는 이야기이Q다.


물론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고 나서는 정부와 정치권 모두가 “국민들과의 거리감을 좁히고 국민들의 입장에서 노력하겠다”고 말하는 일이 많아 그나마 반갑기는 했었다. 하지만 ‘산업안전보건법’ 통과와 2019년 예산안 처리 때 보여준 국회의 모습은 실망 그 자체였다. 여기에 ‘청년문제 및 사회문제를 해결하겠다’면서도 국민들이 실제로 겪고 있는 현실과 동떨어진 정책에 매몰된 정부 시각은 또 어떤가? 우리는 그저 “차라리 들어주는 척이나 하지 말지”라고 푸념하며 쓰린 속을 달래야 했다.



소통과 공감을 기반으로

저성장기조에 들어선 대한민국에 지속가능한 성장동력을..


유럽의 지원과 풍부한 자원을 기반으로 성장한 남미. 아메리카의 여러 나라는 이미 세대 간 형평성을 법에 명시하고 입법 과정에서도 세대 간 이익을 고려하는 제도적 장치를 갖추고 있다. 이는 세대 간의 ‘공감’과 ‘소통’을 기반으로, 일상화된 저성장 속에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을 만들어 가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하고 있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우리 정부와 정치권은 표만을 의식한 대중 정치에서 탈피해야 한다. 정치는 권력을 추구하고 정권을 쟁취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국민을 위한 정치가 우선돼야 한다는 걸 잊지 말아야 한다. 특히 청년들의 어려움을 생각한다면 시간이 촉박하다. 한 전문가의 말처럼 침몰하는 배 위에서 서로 뺏고 뺏기는 전쟁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몰락의 갈림길에 서 있는 대한민국을 구한다는 생각으로 정치를 하는 사람이나 정책을 펴는 사람들은 그동안의 오류에서 빨리 벗어나야 한다. 그 지렛대가 ‘소통’과 ‘공감’임을 상기해야 한다.


소통과 공감. 쉬우면서도 어렵고 알면서도 행하기 어려운 말이다. 그만큼 두 단어가 지니고 있는 현실적 필요성과 중요성을 정확히 인식해야 한다. 그래야만 저성장 체제에 들어선 대한민국을 지속 가능한 성장이 계속될 수 있는 국가로 탈바꿈할 수 있다. 이는 정부, 정치권, 국민이 모두 같이 노력해야 할 과제다.



전상민 칼럼니스트


전) 새정치민주연합 전국청년위원회 부위원장 겸 운영위원

전) 새정치민주연합 부산시당 청년위원회 부위원장


Copyright ⓒ 미디어 내일엔 & www.medianext.co.kr 무단복제 및 전재 – 재배포금지


*독자 여러분의 광고 클릭이 본 지와 같은 작은 언론사에는 큰 힘이 되며 좋은 기사 작성에 밑거름이 됩니다. 고맙습니다.


*본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anext.co.kr/news/view.php?idx=177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기사 작성의 동영상 등록에 동영상 소스를 넣어주세요.

 메인 기사
게시물이 없습니다.
focus더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최신 기사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