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9-07-11 21:28:35
  • 수정 2019-08-11 15:09:52
기사수정


▲ 영화 `알라딘`



1. 국민일보는 영화 <알라딘> <스파이더맨> <토이스토리> 주 관람층이 2030 세대임을 주목했습니다. 1990~2000년대 인기를 끌었던 것이 새롭게 만들어져 관객들에게 과거 추억을 되살리고 동심을 깨운 것이 인기 비결이라는 겁니다. 이미 검증된 작품이 새롭게 만들어졌기에 불안함 없이 영화를 선택할 수 있었고, 어떻게 새롭게 만들었을지에 대한 호기심도 작용했고요. 명성에 기대지 않고 작품 자체의 완성도를 높인 덕에 원작을 기억하는 이들에게는 기대치가 높은데 그것도 충족시키면서 ‘추억 마케팅’이 가능해졌다고도 합니다.


2. 국민일보는 사설로 “청년고용장려금, 증액 앞서 제도 개선부터”라는 사설을 실었습니다. 청년추가고용장려금 증액이 국회 추경 심사에 오른 가운데 사설은 일자리 안정자금처럼 청년고용장려금 역시 부정 수급된 문제를 지적합니다. 사설은 현재 드러난 문제도 빙산의 일각일 수 있다며 ‘눈먼 돈’ 얘기가 나오지 않게 제도 개선책을 꼼꼼히 마련해달라고 주문합니다. 한편 중앙일보도 기사를 통해 ‘청년고용장려금 배달 사고’라면서 사장 아들도 몰래 타간 사례 등을 짚었습니다. 행정 역량 부족으로 청년고용장려금의 취지가 빛 바래선 안되는 만큼 철저한 정책 관리가 뒤따라야 하겠지요. 처리의 효율성을 전산화 작업으로 높이면 부정 수급자는 쉽게 가려낼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의 의견입니다.


3. 경향신문은 한미 양국의 여성주의 학자인 조앤 윌리엄스-신경아 교수 사이의 대담을 담았습니다. 신 교수는 20대 여성 절반 이상이 자신을 페미니스트라고 생각한다는 조사를 언급했습니다. 윌리엄스 교수는 미국보다 훨씬 높은 수치라면서 이른바 ‘출산 파업’(baby strike) 등은 한국 여성들이 해내 가는 강력한 일이라고 짚었습니다. 미국에서도 아이를 낳지 않는 여성을 부정적으로 스테레오타입화하는 걸 생각하면 유교 문화권인 한국에서 그럴 수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라면서 말입니다. 윌리엄스 교수는 젊은 층이 맞닥뜨리는 출산 육아 문제에 있어서 정부가 공공 보육만으로 문제를 푸는 것은 잘못된 접근이라고 말합니다. 육아휴직 시 임금 전체가 보전되도록 하고, 남성과 여성이 절반씩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방향을 제시합니다. 그래야 한국의 저출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서요. 보건복지부 실태조사에 따르면 여전히 한국 사회는 육아를 위해 직장을 그만둔 여성이 10명 중 4명에 달합니다. 일과 육아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구시대적 기업 문화가 여전한 탓입니다.


4. 헤럴드경제는 현행 호봉제를 직무급제로 전환하는 문제를 다뤘습니다. 직무급제는 업무의 난도 등에 비례해 임금으로 보상하는 제도입니다. 호봉제가 안정적이지만 성과를 제대로 보상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과 달리 말입니다. 직무급제는 성과를 그대로 보상하는 성과연봉제와는 다른 개념이지만 노동계는 직무급제가 성과연봉제의 재탕이라고 반대하는 편입니다. 실제 공공기관 노조는 지난 8일부터 오늘까지 기재부 앞 집회를 통해 직무급제 추진을 중단하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기재부가 직무급제를 도입하는 기관에 인센티브를 주려는 방침이 나온 가운데 그렇습니다. 오계택 한국노동연구원 임금직무현신센터 소장은 “청년 근로자들은 평생직장 개념이 사라진 상황에서 일한 것에 비해 임금을 덜 받는 현 구조에 불만이 높다”고 지적합니다. 저성장 구조가 굳어지고 산업구조도 변화한 가운데 과거와 같은 연공서열제가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도 이어졌습니다.


5. 한국벤처캐피탈 정성인 회장은 한국경제에 벤처캐피털이야말로 혁신형 일자리 창출의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썼습니다. 벤처투자를 받은 기업은 고용을 많이 한다면서 말입니다. 노동시장에 청년들이 대거 쏟아져 나왔는데 청년들이 원하는 대기업 일자리는 정작 감소했습니다. 대기업이 직접 일자리를 늘리는 것이 어렵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결국 남는 것은 벤처와 혁신형 기업입니다. 벤처기업의 고용 증가율은 대기업과 비슷한 수준인 8%대를 유지하고 있는데, 중소기업 평균이 대기업의 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과 다릅니다. 실제로 전체 중소기업 고용 증가분에서 벤처인증기업은 3/4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벤처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수단은 무엇이 있을까요. 정 회장은 그래서 벤처캐피털을 주목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정부의 자금 지원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니 4차 산업 혁명 관련 분야를 집중 육성하고 규제를 혁파하면서 벤처캐피털 자금을 효율적으로 배분돼야 한다고 말합니다. 대기업과의 상생형 인수합병(M&A) 활성화도 중요하다고 그는 짚었습니다.


정국진 기자 kujjiny@usnpartners.com


ⓒ 미디어내일엔 & medianext.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 여러분의 광고 클릭이 본 지와 같은 작은 언론사에는 큰 힘이 되며 좋은 기사 작성에 밑거름이 됩니다고맙습니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anext.co.kr/news/view.php?idx=280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기사 작성의 동영상 등록에 동영상 소스를 넣어주세요.

 메인 기사
게시물이 없습니다.
focus더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최신 기사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