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9-07-08 23:09:53
  • 수정 2019-08-11 15:10:45
기사수정


▲ 제2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 박람회. <사진=청와대>



1. 문재인 대통령은 ‘사회적경제 박람회’에 참석하여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한 청년창업 860팀과 5840개의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를 지원할 것입니다”라고 밝혔습니다. 대통령은 사회적경제 인재양성 종합대책을 추진할 것이라고도 밝혔습니다. 도시재생 사업과 연계하여 지역 자원을 활용한 지역 일자리를 만든 뒤 그 수익을 지역에 재투자하는 ‘지역 순환형 경제모델’, 연구자·일반시민·사회적경제 조직·지역 대학 등이 함께 참여하는 ‘사회문제 해결형 R&D’ 역시 대통령의 연설에 포함됐습니다. 이런 내용들 역시 청년층이 주로 수혜를 얻게 될텐데요. 사회적기업을 통해 일자리를 얻을 뿐 아니라 공공선에 기여하는 비전을 가지는 청년이 더욱 늘어나길 바랍니다.


2. 매일경제는 청년추가고용장려금의 현실을 조명함과 동시에 감사원이 사업장 300곳을 대상으로 전격 감사 중이라고 단독 보도했습니다. 청년추가고용장려금은 중소기업이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면 임금 일부를 보전해 주는 제도인데요. 친인척을 고용하거나, 기존 노동자를 새로 채용한 것처럼 속이는 식으로 제도를 악용한 사례가 언론에 수차례 보도됐고 이번 감사는 이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그 외에도 업종을 바꾸거나 서류상으로 직원을 옮기는 사례, 정규직으로 등록해 지원금을 받은 다음 해고한 사례, 계약직 근로자를 정규직으로 등록한 사례 등이 있습니다. 대리신청 전문브로커까지 활개칠 정도라고 하네요. 작년에 3416억원이던 사업은 인기가 높아 올해 추경까지 포함하면 1조원 규모로 확대됐습니다. 1명당 월 75만원 정도 규모를 정부가 지원하는만큼 제도 도입의 의의가 훼손되지 않도록 부정 수급 사례를 막아주시기를 기대합니다.


3. 정치권의 청년 표심 잡기 경쟁이 치열합니다. 한국당은 지난달 이미 2030 청년 부대변인 10명을 공개 오디션 방식으로 임명했는데요. 민주당 역시 청년 부대변인 10여명을 뽑기로 했습니다. 한국당처럼 면접 과정을 당 공식 유튜브 채널로 생중계하는 방식도 고려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뽑힌 이들은 당에서 만들 청년미래연석회의 브리핑도 맡게 됩니다. 한편 바른미래당은 혁신위원 전원을 2030 세대로 하는 파격을 선보인 바 있습니다. 주대환 위원장만이 유일하게 청년이 아닌데요. 주 위원장은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한국당이 6070세대, 민주당이 4050세대라면 바른미래당은 80년대 초에서 2000년대 초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의 정서에 맞는 당으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주 위원장이 이해하는 밀레니얼 세대는 글로벌 감각을 갖추면서 주변 강대국에 대한 콤플렉스에서 자유로운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586 세대는 이들에게 한낱 꼰대일 뿐이며 ‘세대 순환을 막고 왜곡하는 일종의 변비’라고까지 그는 표현합니다. 청년에게 어떤 직책을 주느냐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잘 이해하느냐가 내년 총선의 ‘청년 성적표’를 좌우하지 않을까요.


4. 경제 미디어를 운영하는 청년인 박진영 <어피티> 대표는 정치인들에게 “차라리 여의도 ‘와썹맨’이 되라”고 충고합니다. 이미 3년 전 총선 때 20대를 타겟으로 뉴미디어를 만든 경험이 있는 그는 매번 선거 때마다 정치권이 ‘청년’이라는 똑같은 레퍼토리를 반복한다고 지적합니다. 하지만 청년들은 ‘솔직히 별생각이 없다’는 게 지금의 모습입니다. 박 대표는 청년을 위한 특별한 캐릭터나 컨텐츠를 특정 업체에 맡기는 식으로 접근하지 말라고 말합니다. 청년이 좋아하고 필요로 하는 구호를 들라고 말합니다. 청년이 머무는 곳으로 찾아가라고 합니다. 더 이상 청년이 아닌 연예인 박준형이 ‘와썹맨’이라는 이름의 컨텐츠로 ‘핫플’을 찾아 트렌디한 아이템을 체험하고 소통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블로그 아닌 ‘브이로그’도 권합니다. ‘정치 20년차 국회의원의 일상 브이로그’는 10만 조회수 각이라면서요. 그의 조언은 동영상 컨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고 모든 경우에 반드시 들어맞을 순 없겠지만 청년층의 마음에 다가가려는 태도만큼은 정치권에게 꼭 필요합니다.


5. 전체 가구의 30%를 차지하는 1인 가구는 청년들의 대표적인 주거 형태가 됐습니다. 서울 관악구는 1인 가구가 전체의 53%를 차지할 정도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박준희 관악구청장은 문화일보에 특별기고를 통해 1인가구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설명했습니다. 1인가구는 경제적 어려움, 정서적 고립감, 범죄 등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그만큼 정책적 지원을 필요로 합니다. 관악구의 프로그램 중 흥미로운 것은 1인가구의 고독사를 막기 위한 ‘반려식물 나눔’, 남성 1인가구를 위한 요리교실 프로그램 등입니다. 하반기에 사업이 시작될 ‘스마트 안전조명’은 1인가구의 안전을 위해 이상 행동자를 조명을 통해 감지하고 보행자에게 위험 신호를 보내게 된다고 하네요.


정국진 기자 kujjiny@usnpartners.com


ⓒ 미디어내일엔 & medianext.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 여러분의 광고 클릭이 본 지와 같은 작은 언론사에는 큰 힘이 되며 좋은 기사 작성에 밑거름이 됩니다고맙습니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anext.co.kr/news/view.php?idx=278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기사 작성의 동영상 등록에 동영상 소스를 넣어주세요.

 메인 기사
게시물이 없습니다.
focus더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최신 기사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