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9-06-18 22:33:21
기사수정


▲ 서포터즈 캠페인에 모인 서울지역 대학생들. <서울시>

1. 한국일보의 ‘밀레니얼의 수다, 솔까말’ 아홉 번째 주제는 ‘지역주의’입니다. 철 지난 담론이라는 말도 있지만, 여전히 한국 사회의 고질적 문제라고 청년들은 말합니다. 밀레니얼 세대에 와서 그 특성이 옅어지기는 했어도 강한 지역주의 성향을 가졌던 윗세대를 보고 자라기도 했었거든요. 아버지 고향이 어딘지 묻는 부장님도 여전하고요. 청년들은 미디어가 특정 지역은 촌스럽게, 다른 특정 지역은 권력을 가진 식으로 묘사하는 것에 문제의식을 느끼고 있습니다. 사투리 그 자체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더해서 말이지요. 사투리에 담긴 언어적 다양성과 지역의 유대감은 점차 사라지게 되겠죠. 대담자들은 같은 고향끼리 가지는 반가운 마음과는 달리 그것이 편견이나 편 가르기로 작용해서는 안 된다고 말합니다. 여전히 편견과 편 가르기의 기준으로 삼는 윗세대에 대한 문제의식도 갖고 있습니다. 특정 지역끼리의 대결 구도보다는 중앙집중화로 인한 서울 대 비서울 구도가 향후 문제로 떠오를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습니다. 취업 준비의 경험을 떠올리며, 인프라가 몰려 있는 서울과 그렇지 못한 지방의 차이를 이들은 지적합니다. 새롭게 다가오는 것은 이런 것입니다. “내 지역, 내 고향은 남이 아닌 내가 정한다”는 사고입니다. 스스로 향수를 느끼면 설령 그곳에서 태어나지 않았어도 ‘나의 고향’이요 ‘나의 지역’이라고 생각하는 사고입니다. 밀레니얼 세대가 주도하게 될 새로운 한국 사회에서 지역주의는 점차 더 묽어지고, 대신 수도권과 비수도권, 서울과 비서울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가 관심사로 떠오르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2. 매일경제는 다른 연령대 실업률은 낮아지는 가운데 20대 실업률만 18년 사이에 2%P 상승한 것을 두고 “20대, 꿈을 잃다”라고 진단합니다. 4050 세대의 고용은 직장의 정년 보장 추세나 여윳돈 있는 중년의 창업 등으로 어떻게든 비슷하게 유지됐습니다. 하지만 20대의 실업률이 증가한 건 취업 의사가 있어도 취업이 안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0대 후반 실업률은 2000년 이후 6% 전후를 유지했는데 2016년 제조업 쇼크 이후로는 9% 전후를 넘나들고 있습니다. 체감실업률은 처음으로 통계를 낸 2015년 1분기 12.0%에서 올해 1분기 13.0%로 악화한 바 있습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제조업 부흥 정책도 그렇지만, 청년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큰 틀에서의 정책 전환이 필요하겠습니다. 


3. 아시아경제는 “여전히 ‘문송합니다’”라는 제목으로 인문계열 전공자들의 취업률이 다른 전공에 비해 더욱 낮은 현실을 짚었습니다. ‘문송합니다’는 ‘문과라서 죄송합니다’라는 신조어죠. 의약계열의 취업률이 82.8%, 그 외의 전공도 60% 이상의 취업률을 보이는데 인문계열만 56.0%의 취업률을 보입니다. 심지어 인문계열은 퇴사율도 높아 4명 중 1명이 1년 이내에 퇴사했습니다. 월평균 초임은 220만원으로 전체 평균 250만원보다도 낮습니다. 제조업 중심의 기업 환경, 현장과 전공 지식 간의 괴리 등이 이러한 현상을 가져온 원인으로 꼽힙니다. 전문가들은 산업 현장으로 나갈 수 있는 연계 교육 등 집중적인 취업 타개 정책을 주문합니다. 하나의 전공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영역을 배워 취업에 도움을 주는 전공 개혁을 주장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그런데 인문 진흥을 통한 인문계열 관련 직종을 늘리는 방법을 고려할 순 없을까요? 취업이 가장 중요한 가치가 되어버린 지금 ‘문송합니다’라는 말이 쉽게 사라지기 어려울 것 같네요. 


4. ‘청년팔이 사회’ 저자인 김선기 연구원은 한겨레에 “청년은 미래가 아니라 현재다”라는 제목의 칼럼을 실었습니다. ‘청년팔이’는 이어지고 있지만 새 정부에서도 청년기본법 미처리 등 청년이 뒷전인 것은 여전합니다. 그래도 필자는 당정청 청년미래연석회의 등에서 일말의 기대를 건다고 말합니다. 기존 청년 정책의 양과 폭을 확장하는 데 그치지 말고, 청년 정책의 목표와 철학을 완전히 달리하는 도전을 나서라고 주문합니다. 청년에 대한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나 바라보는 시각을 완전히 전환해야 한다는데 그 내용이란 “청년은 문제가 아니다” “청년은 아이가 아니다” “청년은 미래가 아니다”라는 것입니다. 청년을 시혜의 대상이나 특정한 규범 틀로 묶지 말고, 취업과 상대적으로 덜 관련된 이들에 대한 관심을 가져달라는 것이죠. 또한 청년들이 사회적 독립 시기가 타 국가에 비해 늦은 편인데 이를 가족주의와 가부장적 국가에 책임을 돌립니다. 자립이 가능한 성인이니 독립된 주체로 청년을 봐 달라는 겁니다. 마지막으로 청년이 미래가 아니라는 말은 즉 “청년은 현재다”라는 말과 통합니다. 청년을 중심으로 한 세대교체를 기대합니다. 한국 사회 문제에 대해서 “자치와 자립, 혁신적 실험을 할 수 있도록 기회와 권한을 과감히 이양해야 할 것이다”라고 필자는 충고합니다. 


5. 아시아경제에 칼럼을 실은 이정민 혁신벤처 정책연구소 부소장은 “4차산업혁명 시대의 공시족 41만명”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그는 세계적 투자자 짐 로저스의 말을 인용하면서 모두 공무원을 꿈꾸는 한국 사회를 개탄합니다. 도전보다 안정을 추구하는 한국 사회는 혁신이나 역동적 변화가 일어나기 어렵다는 것이죠. 취업을 준비 중인 청년의 약 40%가 공시족이고 이 숫자는 40~50만 명에 달하는데,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액이 21조원 이상이라고 합니다. 필자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게 정부가 규제환경에 손을 보고 교육의 패러다임도 ‘Teaching’ 아닌 ‘Coaching’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젊은이들에게 책임을 지울 것이 아니라 정부의 정책 방향을 바꾸어 청년들에게 꿈과 희망을 달라고 주문합니다.



정국진 기자 kukjin.jeong@usnpartners.com


ⓒ 미디어내일엔 & medianext.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 여러분의 광고 클릭이 본 지와 같은 작은 언론사에는 큰 힘이 되며 좋은 기사 작성에 밑거름이 됩니다. 고맙습니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anext.co.kr/news/view.php?idx=267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기사 작성의 동영상 등록에 동영상 소스를 넣어주세요.

 메인 기사
게시물이 없습니다.
focus더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최신 기사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