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8-12-31 16:21:23
기사수정


▲ `빼앗긴길` 전시장이미지. <사진=서울시>


[미디어내일 정나은 기자] 삼베로 수의(壽衣)를 만들어 고인에게 입히는 풍습을 전통적인 장례문화가 아닌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강제한 일본식 장례문화로 확인됐다.


일제 강점기 이전까지 우리 조상들은 고인이 생전에 입었던 가장 좋은 옷을 수의로 사용했다.

서울시와 서울시설공단은 2019년 새해를 맞아 ‘빼앗긴 길, 한국 상‧장례 문화의 식민지성’이라는 주제의 장례문화 전시회를 내년 1월20일(일)까지 서울시청 1층 로비에서 연다.


이번 전시전은 3.1운동 100주년을 앞둔 시점에서 장례문화에 남아있는 일제 식민문화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 것에 의미가 있다.


1934년 '의례준칙'을 통해 관혼상제 같은 우리의 전통 생활양식을 일본식으로 바꾸면서 시작됐다. 삼베수의 뿐만 아니라 유족 완장과 리본, 국화로 치장한 영정 같이 오늘날 보편화된 장례문화 상당수가 일제강점기의 잔재다.


이번 전시는 우리 장례문화에 잔존하고 있는 일제의 식민지성을 집중 조명하고 장례문화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다.


특히 한국인의 장례 전통을 말살하고 의식을 지배하기 위한 조선총독부의 식민지 정책이 어떻게 진행됐는지 살펴볼 수 있다. 전시내용은 4개 주제 ▲‘죽음이 가까우면 새는 노래가 구슬프고 사람은 말이 선하다’ ▲‘1912년, 한국의 죽음이 죽다’ ▲‘국적 없는 죽음문화’ ▲‘죽음은 죽음을 추억하지 않는다. 오직 삶이 죽음을 기억할 뿐이다’로 구성된다. 


전시공간은 한 개의 터널구조물로 관객들은 한 개의 길을 걸으며 전시내용을 경험할 수 있다. 그 길은 실제보다 마치 먼 길을 걷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도록 디자인됐다.

 

한국 전통 장례용품인 만장(挽章)을 재구성하여 길로 엮음으로써 한국 상‧장례 문화가 거쳐 온 지난 100여 년 동안의 길을 담아냈으며, ‘길이 끝나는 곳에서 길은 새로 시작된다’는 의미를 담고자 했다. 


서울시는 이번 전시를 통해 국권을 잃으면 삶과 죽음의 정체성도, 문화도 모두 잃게 된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해성 총감독은 “광복 뒤 한국인은 식민화된 상‧장례문화에 대해 성찰해보지 않은 채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고 있다. 100년 전 그날 고종은 일제 주도의 ‘국장’으로 왜색화된 저승길을 떠났다. 이는 ‘백성’과 ‘국민’ 사이에 있던 한국인이 일제에 더 분노한 이유이기도 했다”며 이번 행사의 기획의도를 설명했다. 또, “3‧1운동이 고종의 죽음과 장례를 매개로 전개된 만큼 3‧1운동 100주년인 올해를 ‘상‧장례의 식민지성’ 성찰로 시작하고자 한다”라고 장례문화 의식 정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서울시 김영흠 어르신복지과장은 “장례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 변화를 위해 마련된 이번 행사에 많은 시민 여러분이 찾아주시길 바라며, 앞으로도 우리나라의 건전한 장례문화 발전을 위해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나은 기자 jung12580@naver.com


ⓒ 미디어내일 & medianext.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 여러분의 광고 클릭이 본 지와 같은 작은 언론사에는 큰 힘이 되며 좋은 기사 작성에 밑거름이 됩니다. 고맙습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medianext.co.kr/news/view.php?idx=174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많이본 정부/지자체 뉴스더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내일N 주요뉴스
게시물이 없습니다.
SNS 뉴스더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최신 기사 더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